경주 야생화단지
** 경북 경주시 인왕동 통일신라시대 동궁의 연못터였던 안압지 서편 연꽃단지. 백연,
홍연, 황연 등 다채로운 연꽃 1만여본이 쉼터, 산책로 등과 함께 어우러져 있다.
통일신라시대 동궁 (東宮·왕자가 거하는 궁궐)의 연못터인 안압지 서편에 대규모 연꽃단지가 나온다.
경주시가 관광객들의 산책관광을 위해 꾸민 곳이다.
백연, 홍연, 황연 등 다양한 연꽃 1만여본이 심어져 있고, 부대시설로 쉼터, 산책로, 징검다리,
자연석 등이 어우러져 있어 가족들 산책에 제격이다.
또 인근 첨성대와 반월성, 대릉원 등 주요 사적지가 밀집한 동부사적지 일대에 마련된 유채단지
17만여㎡(5만1500여평), 코스모스단지 18만여㎡(5만4000여평), 야생화단지 2만여㎡
(6000여평) 등은 관광객들의 기념사진촬영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안압지를 중심으로 천마총이 있는 대릉원까지 1㎞가 조금 넘는 코스는 ‘신라의 달밤’을 느끼기에 좋다.
경주 야경의 백미라 할수있는 안압지와 월성,계림,첨성대등이 한곳에 모두 모여 있다...(옮겨온 글 : 이외태)
((고목에도 꽃은 핀다))
고목에도 꽃은 핀다
사람을 사귈 때
사랑으로 대하지 않는 것은 아무 생각 없이
벌집에 손을 집어넣는 것과 같다.
일흔 줄 인생은 백전노장 산전수전 다 겪고
이제는 황혼을 만났다.
깃발 펄럭이던 청춘은 추억 가슴에는
회한과 아픔만 남았다.
아무리 노년에 즐거움과 여유를 강조해도
우리들 가슴에는 낙조의 쓸쓸함이 깃들어 있다.
더구나 자연스런 노화현상으로
신체의 어느 부분 또는 모두가 옛날 같지가 않다.
삼삼오오 허물 없이 모임 자리에선 화제가 건강이다.
나의 청춘만은 영원하리라 믿었는데
어느새 고개 숙인 남자의 대열에 끼이게 된다.
노년은 쾌락(탐욕)으로 부터 버림 받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악덕의 근원인 그로 부터 해방 되는 것이다.
이것은 고대 로마의 大 철학자 지케로가
죽기 전에 쓴 노년에 대하여 에 나오는 말이다
인생을 살아 오면서 끓임없이
우리를 괴롭히던 돈, 명예, 술, 여자, 사치 등의 유혹에서
과연 우리 노인들은 버림 받은 것일까?
해방된 것일까?
생로병사의 순리에 따라우리가 좀 늙었을 뿐
그 기능이 한계에 이른 것일 뿐
사람에 따라 관점에 따라 해답이 다르겠지만
우리가 버림 받은 것이 아님은 확실하지 않는가?
무슨 짓을 해도 부끄럽지 않다는 나이
남의 눈치 살피지 않아도 된다는 원숙의 경지에서
더 이상 잘 난 체. 아는 체. 가진 체 할 필요도 없이
마음 편히 내 멋 대로 살면 되는 것을
어느 한 곳 이 불능 이래도 다른 곳 다 건강하니
축복 은혜라 여기며 살자
스스로 절망과 무기력의 틀 속에 가두어 두지 말고
어느곳에 있을 자신의 용도 즐거움을 찾아 나서야 한다,
인생은 70부터 고목에도 꽃이 핀다 했는데
까짓 회춘回春이라고 안된다는 법도 없는 것
지금부터라도 걷고 뛰고 산을 오르면서
젊게 산다면 인생 70에는 연장전 20년이 있음을 알게 된다.
자유롭고 여유있고 슬기로운 해방의 시기를
즐기며 사느냐, 울며사느냐는
당신의 몫이고 당신의 선택입니다. .. (좋은 글 중에서 )
2017년 8월 1일(경주 야생화 단지에서)윤정이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