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드리

오어사 자장암

윤정이아빠 2018. 11. 8. 17:16

** 자장암(慈藏庵)은 오어사 주차장에서 약 200m 정도 올라가면 있는데 약 15~ 20분 정도

    오르면 됩니다.  도란도란 오르다 보니 절벽 위에 멋지게 자리한 자장암이 나타납니다. 

    절로 감탄사가 나옵니다. 자장암(慈藏庵)은 오어사(吾魚寺)의 산내 암자로, 신라 진평왕 때인

    서기 578년경 자장율사(慈藏律師)와 의상조사(義相祖師)가 수도할 때 오어사와 함께 창건된 암자입니다. 

    이 운제산에는 신라사성(新羅四聖)이라 불리는 자장율사(慈藏律師), 의상대사(義相大師),

    원효대사(元曉大師),혜공대사(惠空大師)가 수도하였다고 합니다... (옮겨온 글 : 이외태)

 

   ((자장율사(慈藏律師)에 대하여))

  『신라시대의 고승.  성은 김씨, 속명은 선종랑(善宗郞). 무림(茂林)의 아들이다. 

   무림은 진골 출신으로 신라 17관등 중 제3위에 해당하는 소판(蘇判)의 관직에 있었다. 

   늦게까지 아들이 없었던 그는 불교에 귀의하여 아들을 낳으면 시주하여 법해(法海)의

   진량(津梁)이 되게 할 것을 축원하면서, 천부관음(千部觀音)을 조성하였다.

 

   어느날 어머니가 별이 떨어져 품안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고 석가모니부처님이

   탄생하신 4월 초파일에 자장을 낳았다.  천성이 맑고 슬기로워 학문을 깊이 닦아 익혔으며,

   어버이를 여읜 뒤부터 세속의 번거로움을 싫어하여 처자를 버리고 홀로 깊은 산으로 들어가

   고골관(枯骨觀)을 닦았다.조그만 집을 지어 가시덤불로 둘러막고 벗은 몸으로

   그 속에 앉아 움직이기만 하면 곧 가시에 찔리도록 하였고, 끈으로 머리를 천장에 매달아

   정신의 혼미함을 물리쳤다.그때 조정의 재상 자리가 비어 그를 기용하려 하였으나

 

   부름에 응하지 않았으므로, 왕은 취임 하지 않으면 곧 목을 베라는 엄한 명을 내렸다. 

   그는 칙명을 듣고, "내 차라리 계(戒)를 지키고 하루를 살지언정 계를 깨뜨리고

   백년을 살기를 원치 않는다(吾寧一日持戒死 不願百年破戒而生)."고 하였다. 

   이 말을 전해들은 왕은 출가를 허락하였다.

   그뒤 더욱 깊은 산속으로 들어가 수행하였는데, 그때 이상한 새가 과일을 물고 와서

   공양하였고, 천인(天人)이 와서 오계를 주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636년(선덕여왕 5) 승실(僧實)  등 제자 10여명과 함께 당나라로 가서,

 

   먼저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머물러 있다는 청량산(淸凉山)의 문수보살상에 은밀한 감응을

   기도하였다.  7일 동안의 기도후 꿈에 대성(大聖)이 나타나 사구게(四句偈)를 주었다. 

   아마도 그는 이곳에 머무르는 동안 화엄사상의 묘지(妙旨)를 터득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즉, 이곳 문수보살상 앞에 기도하여 꿈에 얻은 게송이 바로 화엄의 내용을

   천명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뒤, 중국 장안(長安)으로 갔는데,

 

   당나라 태종은 사신을 보내어 그를 위로하고 승광별원(勝光別院)에 머무르게 하였으며,

   후한 대접을 하였다.어느 날 한 장님이 그의 설법을 듣고 참회하자

   곧 눈을 뜨게 된 일이 있었다.이러한 소문이 퍼지자 그를 찾아와 계를 구하는 사람이

   매일 1,000여명에 이르렀다.  이렇게 그가 당에서 한참 활동하는 시기에 선덕여왕은

 

 

   자장의 귀국을 정식으로 요청한다.  귀국길에 본국 신라에 불상과 불경 등이

   미비함을 생각하고 대장경 한질과 번당(幡幢)ㆍ화개(華蓋) 등을 골고루 마련하였으며,

   7년만에 귀국하였으며 그의 생에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불교의 홍통(弘通)을 통한

   국민교화와 불교교단의 기강확립이었다. 어느 해 여름, 궁중에서 대승론(大乘論)을 강하였고,

 

   황룡사에서 7일 동안 <보살계본(菩薩戒本)을 강하였다. 

   그러나 당시 신라불교는 기강이 세워져 있지 못하였고, 조종에서 대국통이라는

   높은 직위를 주었던 것도 그로 하여금 전국의 승니(僧尼)들을 관장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한편, 일찍이 자기 집을 절로 바꾸었던 원녕사를 다시 증축하고, <화엄경>을 강하여

 

   화엄교법(華嚴敎法)을 천명할 때 52명의 여인이 나타나 법을 듣고 깨닫자

   문인(門人)들이 그 수만큼의 나무를 심어 이적(異蹟)을 기념하였는데,

   그 나무를 지식수(知識樹)라고 불렀다.  이로 인하여 신라에 화엄사상을

   최초로 소개한 인물을 자장이라 보고 있다...(옮겨온글)

2018년 10월 28일(포항 오어사 자장암)윤정이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