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法頂) 스님의 미리 쓴 유서(遺書)
죽게 되면 말없이 죽을 것이지 무슨 구구한 이유가 따를 것인가.
스스로 목숨을 끊어 지레 죽는 사람이라면 의견서(유서) 라도
첨부되어야 하겠지만 제 명대로 살만치 살다가 가는사람에겐
그변명이 소용될 것 같지 않다.
그리고 말이란 늘 오해를 동반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죽음은 어느 때 나를 찾아올는지 알 수 없는 일. 그 많은
교통사고와 가스 중독과 그리고 증오의 눈길이 전생의 갚음으로
라도 나를 쏠는지 알 수 없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 죽음 쪽에서 보면 한걸음 한걸음
죽어오고 있다는 것임을 상기할 때, 사는 일은 곧 죽음이 언제
어디서 내 이름을 부를지라도 네! 하고 선뜻 털고 일어설 준비만
은 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나의 유서는 남기는 글이기보다 지금 살고 있는
″생의 백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 육신으로는 일회적일 수 밖에 없는 죽음을 당해서도
실제로는 유서같은 걸 남길만한 처지가 못 되기 때문에 편집자의
청탁에 산책하는 기분으로 따라 나선 것이다.
누구를 부를까? (유서에는 누구를 부르던데) 아무도 없다. 철저
하게 혼자였으니까. 설사 지금껏 귀의해 섬겨온 부처님이라
할지라도 그는 결국 타인.
이 세상에 올 때에도 혼자서 왔고 갈 때에도 나 혼자서 갈 수 밖에
없으니까. 내 그림자만을 이끌고 휘적휘적 일상의 지평을 걸어 왔고
또 그렇게 걸어 갈테니 부를 만한 이웃이 있을리 없다.
물론 오늘까지도 나는 멀고 가까운 이웃들과 서로 의지해서 살고 있다. 또한 앞으로도 그렇게 살아갈 것이다. 하지만 생명자체는 어디까지나 개별적인 것이므로 인간은 저마다 혼자일 수 밖에 없다. 그것은 보라빛 노을같은 감상이 아니라 인간의 당당하고 본질적인 실존이다. 고리를 뚫고 환희의 세계로 지향한 베토벤도 말한 바 있다. 나는 인간의 선의지 이것 밖에는 인간의 우월성을 인정하고 싶지 않다. 온갖 모순과 갈등과 증오와 살육으로 뒤범벅이 된 이 어두운 인간의 촌락에 오늘도 해가 떠오르는 것은 오로지 그 선의지 때문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세상을 하직하기 전에 내가 할 일은 먼저 인간의 선의지를 져버린 일에 대한 참회다. 이웃의 선의지에 대하여 내가 어리석은 탓으로 저지른 허물을 참회 하지 않고는 눈을 감을 수 없을 것 같다. 때로는 큰 허물보다 작은 허물이 우리를 괴롭힐 때가 있다. 허물이란 너무 크면 그 무게에 짓눌려 참회의 눈이 멀어 버리고 작을 때에만 기억에 남는 것인가. 어쩌면 그것은 지독한 위선일는지 도 모르겠다. 그러나 나는 평생을 두고 한 가지 일로 해서 돌이킬 수 없는 후회와 자책을 느끼고 있다. 그것은 그림자처럼 따라 다니면서 문득문득 나를 부끄럽고 괴롭게 채찍질했다. 중학교 1학년 때. 같은 반 동무들과 어울려 집으로 돌아 오던 길에서 였다. 엿장수가 엿판을 내려놓고 땀을 들이고 있었다. 그 엿장수는 교문 밖에서도 가끔 볼 수 있으리만큼 낯익은 사람인데, 그는 팔 하나와 말을 더듬는 장애자였다. 옮겨온 글 : 윤정이아빠
'감동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로 간 UDT 전설(고(故) 한주호 준위) ..마지막길 '눈물바다' (0) | 2010.04.03 |
---|---|
명령이다 살아서 돌아오라(천안함//772함) (0) | 2010.04.02 |
법정 큰스님 다비식 모습. (0) | 2010.03.24 |
법정(法頂)스님 (0) | 2010.03.18 |
법정 스님께 / 이해인 (0) | 201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