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의 지혜

나이에 따른 호칭 및 생신 명칭

윤정이아빠 2010. 11. 3. 09:15

  

나이에 따른 호칭 및 생신 명칭


♠ 해제(孩提) : (2~3세) 어린 아이(兒提)
♠ 지학(志學) (15세) : 15세가 되어야 학문에 뜻을 둔다는 뜻
♠ 약관(弱冠) (20세) : 남자는 스무살에 관례(冠禮)를 치루어 성인이 된다는 뜻
♠ 이립(而立) (30세) : 서른살쯤에 가정과 사회에 모든 기반을 닦는다는 뜻
♠ 불혹(不惑) (40세) : 공자가40세가 되어서야 세상일에 미혹함이 없었다고 한데서 나온 말
♠ 지천명(知天命) (50세) : 쉰살에 드디어 천명을 알게 된다는 뜻
♠ 이순, 육순(耳順, 六旬) 60세) : 이순은 논어에서 나온 말로 나이 예순에는 생각하는

   모든 것이 원만하여 무슨 일이든 들으면 곧 이해가 된다는 뜻이다.

   60세 때의 생신인 육순(六旬)이란 열(旬)이 여섯(六)이란 말이고,

   육십갑자(干支六甲)를 모두 누리는 마지막 나이
♠ 환갑, 회갑(還甲, 回甲) (61세) : 61세 때의 생신으로 60갑자를 다 지내고

   다시 낳은 해의 간지가 돌아왔다는 의미
♠ 진갑(陳進甲) 62세) : 62세 때의 생신으로 다시 60갑자가 펼쳐져 진행한다는 의미
♠ 미수(美壽) : (66세) : 66세 때의 생신이다. 현대 직장의 거의가 만 65세를 정년으로

   하기 때문에 66세는 모든 사회 활동이 성취되어 은퇴하는 나이이면서도

   아직은 여력이 있으니 참으로 아름다운 나이이므로 `美壽'라 하고, `美'자는

   六十六을 뒤집어 쓰고 바로 쓴 자이어서 그렇게 이름 붙였다.
♠ 고희칠순종심(古稀七旬從心)(70세) : 70세 때의 생신이다. 두보(杜甫)의 곡강(曲江) 시에?

  「술 빚은 보통 가는 곳마다 있으니 결국 인생은 기껏 살아 본들 70세는 옛날로부터 드물다.

    (酒債尋常行處有하니 人生七十古來稀라.)」란 승구 중 고(古)자와 희(稀) 자만을 써서

    ꡐ고희(古稀)ꡑ란 단어를 만들어 70세로 대신 쓴 것이다.?

    또한 뜻대로 행하여도 도(道)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한데서 종심이라 하였다.
♠ 희수(喜壽) (77세) : 77세 때의 생신이다. 오래 살아 기쁘다는 뜻. 희(喜)자를

   약자로 쓰면 七十七이 되는 데서 유래
♠ 팔순산수(八旬傘壽) (80세) : 80세 때의 생신이다.

   산(傘)자의 약자가 팔(八)을 위에 쓰고 십(十)을 밑에 쓰는 것에서 유래
♠ 미수(米壽) (88세) : 88세 때의 생신이다. 미(米)자를 풀면 팔십팔(八十八)이 되는 것에서 유래
♠ 졸수(卒壽) (90세) : 90세 때의 생신이다. 졸(卒)의 속자(俗字)가 아홉구(九)자 밑에

   열십(十)자를 사용하는데서 유래
♠ 백수(白壽) (99세) : 99세 때의 생신이다. 백(百, 100)에서 일(一)을 빼면(99세)

   즉, 백자(白字)가 됨
♠ 천수(天壽) : 병없이 늙어서 죽음을 맞이하면 하늘이 내려 준 나이를 다 살았다는 뜻으로

   천수라 한다.
◈ 결혼기념일(結婚記念日)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紙婚式(지혼식) : 1주년,                             
藁婚式(고혼식) : 2주년,
糖菓婚式(당과혼식) : 3주년,                       
革婚式(혁혼식) : 4주년,
木婚式(목혼식) : 5주년,                             花婚式(화혼식) : 6주년,
電氣器具婚式(전기기구혼식) : 8주년,            陶器婚式(도기혼식) : 9주년,
錫婚式(석혼식) : 10주년,                           鋼鐵婚式(강철혼식) : 11주년,
麻(絹)婚式(마혼식) : 12주년,                      象牙婚式(상아혼식) : 14주년,
銅婚式(동혼식) : 15주년,                            磁器婚式(자기혼식) : 20주년,
銀婚式(은혼식) : 25주년,                            眞珠婚式(진주혼식) : 30주년,
珊瑚婚式(산호혼식) : 35주년,                      碧玉婚式(벽옥혼식) : 40주년,
紅玉婚式(홍옥혼식) : 45주년,                      金婚式(금혼식) : 50주년,
回婚式(회혼식) : 60주년,                            金剛石婚式(금강석혼식) : 75주년,

     

                                                옮겨온 글 : 윤정이아빠                           

                                      

  

회심곡(저승사자) // 김영임

일직사자 손을끌고  월직사자  등을 밀어  풍우같이 재촉하여   천방지방을 몰아갈제
높은데는 낮아지고  낮은데는    높아진다
사자님아 내말 잠깐  들어주오
시장한데 점심하고   신발이나  고쳐신고 쉬어가자고 애걸을한들   들은척도  아니하고
쇠뭉치로 등을치시며   어서가자 바삐가자  이렁저렁 여러날에   저승문에 다다르니
우두나찰 마두나찰   소리치며 달려들어  인정달라 비는구나   인정쓸 돈 반푼없다
굶어주려 모은 재산 인정한푼 써볼손가 
저승으로 옮겨올까  환전붙여 가져올까
의복벗어 인정쓰며   열두대문 들어갈제  무섭기도 그지없고   두렵기도 한량없다


남자죄인 잡아들여  형벌하여 묻는말이  이놈들아 들어봐라 선심하려 발원하고
인간세에 나아가서  무산선심 하였는가  바른대로 다일러라 용방비간 본을 받아

임금님께 극간하여  나라에 충성하며  부모님께 효도하여  가법을 세웠으며
배고푼이 밥을주어  아사구제 허였는가  헐벗은이 옷을주어  구난공덕 허였는가
좋은곳에 집을지어  행인공덕 허였는가
깊은물에 다리를 놓아 월천공덕 허였는가
목마른이 물을주어   급수공덕 허였는가 병든사람 약을주어   활인공덕 허였는가
부처님께 공양드려   마음닦고 선심하여  염불공덕 하였는가  어진 사람 모해하고
불의행사 많이하여  탐재함이 극심하니  풍도옥에 가두리라 


착한사람 불러들여  위로하고 대접하며  몸쓸놈들 구경하라 이사람은 선심으로
극락세계 가올지니  이아니 좋을손가 소원대로 물은적에  네원대로들 허여주마
극락으로 가려느냐 연화대로 가려느냐 옥제에게 주품하사
남중절색 되어나서  요지연에 가려느냐 백만군중 도덕되어  장수몸이 되겠느냐

 

어서바삐 아뢰어라 옥제전에 주품하여  석가여래 아미타불  제도하게  이문하라
산신불러 의논하며  어서바삐  시행하라
저런사람 선심으로  귀히되어  가느니라
대웅전에 초대하여  다과올려  대접하며 몹쓸놈들 잡아내어 착한사람  구경허라
너의놈은 죄중하니  풍도옥에  가두리라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년도 쉽게 외우는 방법  (0) 2011.01.30
구두 보관은 헌 스타킹을 씌워서  (0) 2010.03.11
실내 화초 잘 기르는 방법  (0) 2010.03.04
정월 대보름 오곡밥  (0) 2010.02.27
구정의유래  (0) 2010.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