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드리

청도 운문사

윤정이아빠 2018. 9. 3. 11:13

  ** 운문사(雲門寺)는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호거산(虎踞山, 운문산)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 진흥왕 21년(560년)에 신승(神僧)이 창건하여 대작갑사(大鵲岬寺)라 하였다.

      608년 원광국사(圓光國師)가 중건하였다. 고려 태조 20년(937년) 보양국사(寶壤國師)가

      중건하여 작갑사(鵲岬寺)라고 하였다. 태조 26년(943년) 태조가 운문선사(雲門禪寺)라 사액하여

      운문사(雲門寺)라 불리게 되었다. 숙종 10년(1105년) 원진국사(圓眞國師)가 중창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당우 일부가 불탔다. 조선 숙종 16년(1690년) 설송(雪松)이 중건하였다.

      현재는 비구니 전문강원으로 알려져 있다...(옮겨온 글 : 이외태)

 

   (( 정(情) ))

 

   꽃은 피어날 때 향기를 토하고

 

   물은 연못이 될 때 소리가 없다

 

   언제 피었는지 알 수 없는 정원의 꽃은

 

   향기를 날려 자기를 알린다

 

   마음을 잘 다스려 평화로운 사람은

 

   한 송이 꽃이 피듯 침묵하고 있어도

 

   저절로 향기가 난다

 

   한평생 살아가면서

 

   우리는 참 많은 사람과 만나고

 

   그러나 꽃처럼 그렇게 마음 깊이

 

   향기를 남기고 가는 사람을 만나기란 쉽지 않다

 

   인간의 정이란 무엇일까

 

   주고 받음을 떠나서

 

   사귐의 오램이나 짧음과 상관없이

 

   사람으로 만나 함께 호흡하다 정이 들면서

 

   더불어 고락도 나누고

 

   기다리고 반기고 보내는 것인가?

 

   기쁘면 기쁜 대로 슬프면 슬픈 대로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없는 대로

 

   또 아쉬우면 아쉬운 대로

 

   미련이 남더라도 때가 되면

 

   보내는 것이 정이 아니던가

 

   대나무가 속을 비우는 까닭은

 

   자라는 일 말고도 더 중요한 게  있다고 했다

 

   바로 제 몸을 단단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란다

 

   대나무는 속을 비웠기 때문에

 

   어떤 강풍에도 흔들릴 지언정

 

   쉬이 부러지지 않는다고 했다

 

   며칠 비워둔 방 안에도

 

   금세 먼지가 쌓이는데

   돌보지 않은 마음 구석인들 오죽하겠는가?

 

   누군가의 말처럼 산다는 것은

 

   끊임없이 쌓이는 먼지를

 

 

       닦아내는 것인지도 모른다... (좋은글 중에서)

                                       2018년 9월 2일(청도 운문사에서)윤정이아빠

'나의 나드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건 셋트장  (0) 2018.09.17
마산 저도 콰이강다리  (0) 2018.09.08
언양 작천정  (0) 2018.08.19
동백섬  (0) 2018.08.16
누리마루  (0) 2018.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