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드리

오어사 (누구 탓을 하지마라)

윤정이아빠 2010. 6. 21. 12:13

* 운제산 오어사는 부처님의 그윽한 향기가 머물고 용이 감싸고 있는듯한 호수와 기암절벽이 한폭의 동양화처럼

 어우려져 있는 곳이다. 오어사는 신라 4대 조사를 배출한 성지다. 신라 26대 진평왕(579∼632)대에

 창건된 사찰로 당초에는 항사사(恒沙寺)라 불렀으나 원효대사와 혜공선사가 이곳에서 수도할 때

 법력(法力)으로 개천의 고기를 생환토록 시합을 하였는데 그 중 한 마리는 살지 못하고 다른 한 마리는 살아서

 힘차게 헤엄치는지라, 그 고기가 서로 자기가 살린 고기라고하여 나 "오(吾), 고기어(魚)"자를 써서

 오어사(吾魚寺)라 하였다고 한다. 대웅전은 정면3칸, 측면2칸 팔작지붕 다포(多包)집으로 조선영조 17년(1741)에

 중건하였다. 사찰 주변은 운제산(雲梯山)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오어지(吾魚池)의 푸른물이 장관을 이루고 있고,

 기암절벽 위의 자장암 및 오어사 서쪽의 원효암이 등이 있다. 경북문화재 제88호인 대웅전,

 국가보물 제1280호인 범종, 원효대사 삿갓, 그 외 다수의 유물을 보관하고 있다.(옮겨온 글 : 윤정이아빠)

  현대인의 불행은 모자람이 아니라             (오어사의비취 물결이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오히려 넘침에 있다. 모자람이 채워지면 고마움과 만족함을 알지만
 넘침에는 고마움과 만족이 따르지 않는다.

  우리가 불행한 것은 가진 것이 적어서가 아니라          (오어사뜰에서 형님 내외분과함께)
 따뜻한 가슴을 잃어 가기 때문이다.
 따뜻한 가슴을 잃지 않으려면 이웃을 사랑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식물등 살아 있는 생물과도
교감할 줄 알아야 한다.

  자기 스스로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행복하다.                    (울 부부도 한컷)
 마찬가지로 자기 스스로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불행하다.

 그러므로 행복과 불행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내 스스로 만들고 찾는 것이다.

  행복은 이웃과 함께 누려야 하고               (두분 오늘처럼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 하세요)
 불행은 딛고 일어서야 한다. 우리는 마땅히 행복해야 한다.
 자신의 생각이 곧 자신의 운명임을 기억하라.

  우주의 법칙은 자력과 같아서,                                    (오어사에서 바라본 자장암)
 어두운 마음을 지니고 있으면 어두운 기운이 몰려온다.
 그러나 밝은 마음을 지니고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살면,
 밝은 기운이 밀려와 우리의 삶을 밝게 비춘다.

  밝은 삶과 어두운 삶은                                           (남는게 사진이다 박고또박고)
 자신의 마음이 밝은가 어두운가에 달려 있다. 그것이 우주의 법칙이다.
 사람은 저마다
홀로 자기 세계를 가꾸면서
공유하는 만남이 있어야 한다.
 어느 시인의 표현처럼 '한 가락에 떨면서도 따로따로 떨어져 있는
 거문고 줄처럼' 그런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거문고 줄은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잠시 휴식을 취하며...)
 울리는 것이지, 함께 붙어 있으면 소리를 낼 수 없다.
 공유하는 영역이 너무 넓으면 다시 범속에 떨어진다.

   어떤 사람이 불안과 슬픔에 빠져 있다면                                    (두분 보기가 넘 좋네요...)
 그는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의 시간에 아직도 매달려 있는 것이다.
 또 누가 미래를 두려워하며 잠 못 이룬다면
 그는아직 오지도 않을 시간을 가불해서쓰고 있는것이다.

  빗방울이 연잎에 고이면                                            (늘 처음 그날처럼 이렇게...)
 연잎은 한동안 물방울의 유동으로 일렁이다가
 어느 만큼 고이면 수정처럼 투명한 물을 미련 없이 쏟아 버린다.

  그 물이아래 연잎에 떨어지면                                         (단체 사진도 찍고...)
 거기에서 또 일렁이다가 도르르 연못으로 비워 버린다.
 이런 광경을 무심히 지켜보면서, '연잎은 자신이 감당할 만한 무게만을
 싣고 있다가 그 이상이 되면 비워버리는구나' 하고 그 지혜에 감탄했었다.

 그렇지 않고 욕심대로 받아들이면                           (물에 빠지지 않게 조심 하세유)
 마침내 잎이 찢기거나 줄기가 꺾이고 말 것이다.
 세상사는 이치도 이와 마찬가지다.
 오늘날 인간의 말이소음으로 전락한 것은 침묵을 배경으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말이 소음과 다름없이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말을 안 해서
 후회되는 일보다도 말을 해버렸기 때문에 후회되는 일이 얼마나 많은가.

 입에 말이 적으면 어리석음이 지혜로 바뀐다.   (하루의 일정이 어떻게 지나갔는지?????)
 말하고 싶은 충동을 참을 수 있어야 한다.
 생각을 전부 말해 버리면 말의 의미가 말의 무게가 여물지 않는다.
 말의 무게가 없는 언어는 상대방에게 메아리가 없다.

 말의 의미가 안에서 여물도록 침묵의 여과기에서 걸러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법정스님의 " 살아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중에서 - (옮겨온 글)
 

                   2010 년 6월 20일 (포항오천 오어사에서)윤정이아빠 

                                      음악 : 연인들의 이야기 // 경음악

옮겨온 글 : 윤정이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