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석강은 변산반도에서 서해바다 쪽으로 가장 많이 돌출된 지역으로 강한 파랑의 영향으로 형성된 곳이다.
높은 해식애 및 넓은 파식대에 의해 수 만권의 책을 정연히 올려놓은 듯한 층리 등
해안지형의 자연미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파식대, 해식애, 해안단구 및 화산암류, 습곡 등은
과거 화산활동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높은 곳으로 산림경관과 함께 바다의 풍경 서해안 해안절경의
멋스러움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꼭 가봐야 할 장소중 하나다.
작은 포구중의 하나지만 변산반도의 가장 끝쪽에 위치한 해안가 절벽은 파도에 의해 깍이고 다듬어져 겹겹히
쌓여있는 모습이 격포항 등대까지 이어져 절경을 보여준다. (옮겨온 글 : 이외태)
채석강의 이름은 중국 당나라의 시선 이태백이 달빛 아름다운 밤,
뱃놀이를 하며 술을 즐기다 강물에 비추어진 달을 잡으러
푸른 물에 뛰어들어 그 삶을 마감하였다는 장소에서 기인하는 이름이다.
중국의 그곳이 얼마나 아름다운 장소인지 모르지만
격포해수욕장 인근 닭이봉의 한쪽을 장식하는 채석강의 모습은
수많은 책이 높다랗게 쌓여 있는 듯한 특이한 퇴적암의
아름다움으로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낸다.
격포항 방면으로 자리하는 해식동굴은 그 안쪽에서 바다와 기암,
하늘이 어우러지는 아름다움을 감상하는 것이 가장 좋다.
채석강 탐방은 물때를 확인하고 찾아야 멋진 경관을 자세히 즐길 수 있다.
만조 시기의 채석강은 단순한 해안의 부드러운 모습뿐이다.
1976년 4월 2일 전라북도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고,
2004년 11월 17일 명승 제13호로 지정되었다. 면적 12만 7372㎡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반도 맨 서쪽, 격포항 오른쪽 닭이봉 밑에 있다.
옛 수군(水軍)의 근거지이며 조선시대에는
전라우수영(全羅右水營) 관하의 격포진(格浦鎭)이 있던 곳이다.
지형은 선캄브리아대의 화강암, 편마암을 기저층으로 한 중생대 백악기의 지층이다.
바닷물에 침식되어 퇴적한 절벽이 마치 수만 권의 책을 쌓아놓은 듯하다.
주변의 백사장, 맑은 물과 어울려 풍치가 더할 나위 없다.
채석강이라는 이름은 중국 당의 이태백이 배를 타고 술을 마시다가
강물에 뜬 달을 잡으려다 빠져 죽었다는 채석강과 흡사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여름철에는 해수욕을 즐기기 좋고 빼어난 경관 때문에
사진 촬영이나 영화 촬영도 자주 이루어진다. 채석강에서 해수욕장 건너
백사장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붉은 암벽으로 이루어진 적벽강이 있다.
외변산의 대표적인 명소로 채석강과 변산 해수욕장을 꼽는다.
채석강은 강이 아니라 썰물 때 드러나는 변산반도 서쪽 끝 격포항과
그 오른쪽 닭이봉(200m)일대의 층암 절벽과 바다를 총칭하는 이름이다.
기암괴석들과 수천수만권의 책을 차곡차곡 포개 놓은 듯한 퇴적암층 단애로,
강자가 붙어 강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중국의 채석강(彩石江)과
그 모습이 흡사해 채석강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특히 닭이봉 한자락이 오랜 세월동안 파도에 깎이면서 형성된 퇴적암층이 절경이다.
이곳의 지질은 선캠브리아대 화강암, 편마암이 기저층을 이루고 있고,
중생대 백악기(약 7천만년 전)에 퇴적한 퇴적암의 성층으로
바닷물의 침식에 의해 마치 수만 권의 책을 쌓아 올린 듯한 와층을 이루고 있어
자연의 신비감을 느끼게 한다.채석강은 하루 두 차례 물이 빠지면 들어갈 수 있는데,
간조 때는 물 빠진 퇴적암층에 다닥다닥 붙어있는 바다생물과 해식동굴의
신비로운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간조 때 해식동굴에서 바라보는
낙조와 노을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아름답다. 2017년 5월 1일(변산반도)윤정이아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