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말의 선승인 나옹 혜근 선사가 경주 분황사에서 주석하며 수도할 때 나라에 큰 가뭄이 들어
들에는 곡식과 풀이 말라죽고 인심이 흉흉하였다. 어느 날 혜근의 꿈에 용왕이 나타나 말하기를
봉래산 끝자락에 절을 짓고 기도하면 비가 내리고 국태민안(國泰民安)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혜근이 이곳에 와서 지세를 살펴보니 뒤는 산이고 앞은 푸른 바다가 있어 아침에 불공을 드리면
저녁 때 복을 받을 곳이라 하여 절을 짓고 산 이름을 봉래산, 절 이름을 보문사(普門寺)라 하였다.
임진왜란을 맞아 사찰 건물이 모두 불탔는데, 1930년대 초 근 300여 년 만에 통도사 운강 화상이 보문사를
중창한 이후 여러 승려를 거쳐 1974년 승려 정암이 부임하여 관음 도량으로 복원할 것을 발원하고
절의 이름을 해동용궁사(海東龍宮寺)로 바꾸었다.
해동용궁사는 대개의 사찰이 산중 깊숙이 있는 것과는 달리 발아래 바닷물이 보이는 수상 법당(水上法堂)이다.
우리나라의 관음 신앙이 주로 해안이나 섬에 형성되어 있는데,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의 낙산사,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의 보리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의 해동용궁사 이 세 절이
한국의 3대 관음 성지이다. 특히 해동용궁사는 바다와 용과 관음 대불이 조화를 이루어 그 어느 곳보다도
깊은 신앙심을 자아내게 한다...(이외태)
((순박함을 지키고 경박함을 물리쳐라))
순박함을 지키고 경박함을 물리쳐라
차라리 순박함을 지키고 경박함을 물리쳐서
어느 정도의 정기가 깃들이게 해서 천지를 돌리고,
차라리 화려한 것을 사절하고
담백한 것을 달게 여겨서 깨끗한 이름이
오래도록 천지에 남도록 하라
악마를 항복 시키려거든
먼저 자기 자신과 싸워 이겨라
악마를 항복시키려거든
자기 마음속의 악마부터 먼저 항복 시켜라
마음이 항복하면 모든 악마가 물러난다
바로잡히지 않는 마음을 제거하려거든
먼저 자기 마음속의 객기부터 제어하라
기가 되면 밖으로부터 불안한 마음이 범하지 못할 것이다
사악한 자를 사귀는 것은
나쁜 종자를 파종하는 것과 같다
자녀를 교육할 때 규중처녀를 기르듯
출입을 엄하게 하고 친구 사귐을 가려야 한다
만일 한번 사람 같지 않은 사람과 친하게 되면
이는 기름진 밭에 부정한 씨를 뿌리는 것과 같다
잡초만 우거져서 평생 좋은 벼는 심기가 어렵게된다
도리에서 한걸음 뒷걸음치면 도리로부터 멀어지고 만다
욕정에 관한 일은 쉽게 얻을 수 있다 해도
그 편리함을 조금이라도 즐겨 맛보지는 말라
한번 맛보면 곧 만길 벼랑으로 떨어진다
도리에 관한 일은 비록 어렵다 해도
조금이라도 물러서지 말라 한번 물러서면
곧 천산처럼 멀리 격하 된다
좋고 나쁨은 너무 농염하게도, 건조하게도 말라
마음이 너그럽고 후한 사람은 자신에게도 후하고
남에게도 또한 후하며 어느 곳에서든 모두 후하다
마음이 박하고 무관심한 사람은
자신에게도 박하고 남에게도 또한 박하며
무슨 일에든 냉기가 풍긴다
그러므로 군자는 평소 기호를 너무 짙게 가져도 안 되며
또한 너무 무미하게 가져도 안 된다
군자는 재력이나 지위에 의해 농락 당하지 않는다
상대가 부富로 대하면
나는 인仁이라는 덕으로 대할 것이며
상대가 벼슬로써 대하면
나는 의義라는 절개로 대할 것이다
군자는 본래 임금이나 정승이라고 해서
그들에게 농락 당하지 않는다
사람의 힘이 굳으면 하늘도 이길 수 있고,
뜻을 하나로 모으면 기질도 변화시킬 수 있으니
군자는 또한 틀 속에 넣고 마음대로 주물러도 변하지 않는다...<좋은글 중에서>
4월 10일(기장 용궁사에서)윤정이아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