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재지 : 경상남도 사천시 백천길 326-2 ...
(백천동)1300년 전 신라 문무대왕 시절 의선대사(의상대사의 속세 형제)가
백천사를 처음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몸속 법당 부처님을 모시게 된 백천사가 있는 와룡산에는 옛날의 절터가 많기로 유명한 곳이다.
그러나 임진, 정유왜란 때 소실되어버린 것을 장소를 옮겨 옛문헌을 토래로 신축한 절로서
현재의 백천사 역사는 길지 않다. 특히 약사와불전에 있는 대형 와불로 유명하다.
((버리고 떠난다는 것은))
세상과 타협하는 일보다
더 경계해야 할 일은 자기 자신과 타협하는 일이다.
스스로 자신의 매서운 스승 노릇을 해야 한다.
우리가 일단 어딘가에 집착해
그것이 전부인 것처럼 안주하면 그 웅덩이에 갇히고 만다.
그러면 마치 고여 있는 물처럼 썩기 마련이다.
버리고 떠난다는 것은 곧 자신답게 사는 것이다.
낡은 탈로부터, 낡은 울타리로부터,
낡은 생각으로부터 벗어나야 새롭게 시작할 수 있다.
아무리 가난해도 마음이 있는 한 다 나눌 것은 있다.
근원적인 마음을 나눌 때 물질적인 것은 자연히 그림자처럼 따라온다.
그렇게 함으로써 내 자신이 더 풍요로워질 수 있다.
세속적인 계산법으로는 나눠 가질수록
내 잔고가 줄어들 것 같지만
출세간적인 입장에서는 나눌수록 더 풍요로워진다.
풍요 속에서는 사람이 타락하기 쉽다.
그러나 맑은 가난은 우리에게 마음의 평안을
가져다 주고 올바른 정신을 지니게 한다.
행복의 비결은 필요한 것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져 있는가 하는 것이다.
'위에 견주면 모자라고 아래에 견주면 남는다'라는 말이 있듯
행복을 찾는 오묘한 방법은 내 안에 있는 것이다.
하나가 필요할 때는 하나만 가져야지
둘을 갖게 되면 당초의 그 하나마저도 잃게 된다.
그리고 인간을 제한하는소유물에 사로잡히면
소유의 비좁은 골방에 갇혀서 정신의 문이 열리지 않는다.
작은 것과 적은 것에서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이 청빈의 덕이다. 우주의 기운은 자력과 같아서
우리가 어두운 마음을 지니고 있으면 어두운 기운이 몰려온다고 한다.
그러나 밝은 마음을 지니고 긍정적이고 낙관적으로 살면
밝은 기운이 밀려와
우리의 삶을 밝게 비춘다고 한다.
(좋은 글 중에서)
2016년 11월 27일(경남 사천 백천사에서)윤정이아빠
'나의 나드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운대 티파니 대합실 (0) | 2016.12.04 |
---|---|
사천 선진리성 공원에서 (0) | 2016.11.28 |
사천 용주사 (0) | 2016.11.27 |
설악산 신흥사 (0) | 2016.11.21 |
기림사 1 (0)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