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산행기

진해시루봉1(돌아보면 인생은 겨우 한나절/ 이외수)

윤정이아빠 2011. 6. 5. 22:25

* 시루봉은 지도에는 웅산(熊山)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진해 시내에서 바라보면 산 정상에 우뚝 솟은 웅암(시루바위)이

   마치 시루를 얹어 놓은 것 같다 하여 시루봉으로 부르고 있다. 정상에 돌출한 기이한  시루바위는 보는 위치에 따라

   마치 여인의 젖꼭지 같이 보이기도 한다.시루봉(熊山)은 진해시, 창원시에 걸쳐있으며 북서쪽으로 장복산, 남서로는

   산성산, 남으로는 천자봉과 연결된다.시루봉은 진해의 명산으로, 신라시대부터 명산으로 이름나서 나라에서

   국태민안을 비는 소사(小祀)를 지낸 산이기도 하며 조선조 까지 산신제가 올려진 곳이기도 하다.
   시루봉 정상에 우뚝 솟은 거암 시루바위(시리바위, 웅암, 곰바위, 곰메라고도 함)는 높이가 10m, 

   둘레가 50m나 되며, 조선시대 명성황후가 순종을 낳은 후 세자의 무병장수를 비는 백일제를 이 시루바위에서  

   올렸다고 전해진다. 쾌청한 날에는 멀리 대마도가 보이는 이 시루바위에는 조선시대 웅천을 일본에 개항하였을 때  

   웅천을 내왕하는 통역관을 사랑하게 된 기생 아천자가 이 바위에 올라 대마도를 바라보며 기약없이 떠난 님을

   그리워 했다는 애달픈 사랑 이야기도 전해진다.(옮겨온 글 : 이외태)

☞ 코스= 자은초등학교=>작은쉼터=>녹차쉼터=>화장실=>시루샘터=>바람재(439m)=>시루봉(653m)

           바람재=>시루샘터=>화장실=>녹차쉼터=>작은쉼터=>자은초등학교(원점회귀:4시간소요)

  어릴 때부터

  누군가를 막연하게 기다렸어요.

  서산머리                                                                                                (자은초등학교옆 등산로입구)

  지는 해 바라보면 까닭없이 가슴만 미어졌어요.

   돌아보면 인생은 겨우 한나절...

  아침에 복사꽃 눈부시던 사랑도

  저녁에

  놀빛으로 저물어 간다고  어릴 때부터 예감이 먼저 와서 가르쳐 주었어요.

  이제야

  마음을 다 비운 줄 알았더니

  수양버들 머리 풀고                                                                                   (녹차 쉼터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며)

  달려오는 초여름  아직도 초록색 피 한 방울로 남아 있는 그대 이름...

  아시나요?...

  종일토록 아무 생각없이 태양만 바라보고 있어도

  그대가                                                                                                         (바람재 쉼터에서)

  태양이 된다는 사실을 가르쳐 주기 위해

  해바라기는                                                                                       (바람재에서 본 진해앞 바다)

  여름이 다 가도록 그대 집 마당 가에 서 있습니다.

  가을이 오면

  그대 기다리는 일상을 접어야겠네.

  간이역 투명한 햇살 속에서

  잘디잔                                                                    (시루봉을 배경으로 동갑내기 부부)

  이파리 마다 황금빛 몸살을 앓는 탱자나무 울타리

  기다림은

  사랑보다 더 깊은 아픔으로 밀려드나니

  그대 이름 지우고                                                                            (울 부부도 시루봉을 배경삼아)

  종일토록 내 마음

  눈시린 하늘 저 멀리 가벼운 새털구름 한 자락으로나 걸어 두겠네.  

  어쩌자고 하늘은 저리 높은가...

  이 풍진 세상에                                                                                         (시루봉 모습)

  가을빛 짙어 날아가는 기러기 발목에 그대 눈물 보인다.

  과거를 묻지 마세요.                                                                                (시루봉에서 wife)

  겨울이 너무 깊어 사랑조차 증거가 인멸 되었습니다.

  올해도

  무기질의 시간이나 파먹으면서 시정잡배로 살았습니다.

   법률은 개뿔도 모르지요.

   그래도 희망을 목조르지는 않았으므로 저는 무죄를 주장합니다.(이외수님의 시 옮겨온글)

                                       2011년 6월 5일(진해 시루봉 산행에서)윤정이아빠

                                                           음 악 :  New Lands